반응형

背山臨水 [배산임수]

背 등 배 山 메 산 臨 임할 임(림) 水 물 수

지세(地勢)가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에 면하여 있음.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취락이 입지하는 조건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민간사상인 풍수지리와 관련되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적응한 조상들의 실용적인 지혜로 여겨진다.

 

배산(背山) : 산을 등지고 위치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후를 지배하는 북서계절풍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중위도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위치하여 연교차가 크고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데, 그 중 춥고 긴 겨울이 서민들의 생활이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과거에 춥고 긴 겨울을 나는 것은 삶과 직결된 문제였으므로 겨울철 추위를 지배하는 북서계절풍을 막아주는 뒷편의 산이 매우 중요했던 것이다. 따라서 산을 등지는 것은 북쪽방향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일조량 확보를 위해 집을 남향으로 설정하는 것과도 관련이 된다. 또한 뒷편의 산은 과거 농경사회 주 연료원이었던 뗄감 확보와 더불어 각종 임산물의 제공처가 되기도 했으며, 지형에 따라 외적의 방어에도 도움이 되었다.

 

임수(臨水) : 물을 마주 보는 위치가 중요한 이유는 농업에 필요한 용수의 확보 때문이다. 벼농사를 중심으로 했던 우리나라는 특히 물을 많이 필요로 했기 때문에, 다른 농경문화권에 비해서도 물의 확보가 거주지 선택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생활용수 공급 측면에서도 물은 중요했다. 한편 대부분 전통 취락들이 물가 근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거리를 두며 다소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데, 이는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서이다. 우리나라 여름철은 강수량이 많고 집중되어 있어 오늘날에 비해 수리시설이나 홍수방지 시설 등이 부족했던 과거에는 홍수가 더 빈번했고, 거주지 선택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위와 같은 이유로 배산임수는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특히 기후 특성에 적응한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지혜가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현대에 와서는 지리학 사상 중 하나인 환경결정론의 한 사례로 언급되기도 한다. 한편, 우리나라 전통 민간사상인 풍수지리설에서도 배산임수는 택지(宅地)를 정할 때의 가장 이상적인 배치로 보고 있다. 집 뒤의 산은 집에 생기를 불어넣는 지맥이 있는 곳으로 보며, 집 앞의 물은 산으로부터 흘러온 땅의 기운이 모이는 곳으로 땅의 기운이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따라서 배산임수는 산의 기운인 음(陰)과 물의 기운인 양(陽)이 서로 합해지는 곳으로, 산천의 생기를 북돋우어 만물이 잘 자라게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풍수설에서는 배산임수를 양택(良宅)풍수라 하여 양기풍수(마을이나 도읍 터), 음택풍수(묘지)와 함께 가장 중요한 풍수의 원칙으로 여기고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