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생활균형11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근무혁신 우수기업 사례 일생활균형을 위한 필수요소인 근무혁신, 이번에는 근무혁신 우수기업들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 만날 기업은 개인과 기업의 고객들을 위한 유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평생학습 교육기업 (주)휴넷~!! 대표이사님의 인터뷰 중, 행복한 직장 생활, 일하고 싶은 회사를 만들기 위해, 근무혁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 라는 말에 백번 공감합니다~!! 어마마맛!! 주 36시간 근무제~!! 금요일에는 정오에 퇴는하는 멋진 제도를 가지고 있네요. 현재는 주 5일, 40시간 근무가 보통이여서, 오전 9시~오후6시까지 하루종일 회사에서 있어야만 하지요. 그래서 퇴근 후에는 솔직히 다른 개인적인 일들을 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퇴근 후엔 피곤해서 운동 또는 한가지 취미활동을 하는 것도 어렵죠. 하지만, 금요일.. 2020. 11. 27.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근무혁신 우수기업 사례 일생활균형을 위한 필수요소인 근무혁신, 이번에는 근무혁신 우수기업들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그 기업은 바로, 이트너스(주)~!! 사람 중심 서비스와 시스템을 융합한 만능 플랫폼 기업 이트너스(주), '사람 중심'을 바라보는 기업으로서, 근무 혁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간 것 같네요! 사무실 한가운데 위치한 휴식 공간이 눈에 띄네요! 사진에서 살짝 볼 수 있듯이 체력단련을 하고, 대화도 나눌 수 있는 공간이 좋아 보입니다. 솔직히, 딱딱한 책상에 계속 앉아서 일을 하다보면, 둔해지고 멍해지고~ 그래서 솔직히 인터넷으로 쇼핑을 한다던지, 게임을 하는 사람들도 보게 되는데요~ 이렇게 몸을 움직이며 잠시 휴식 또는 리프레쉬를 하고~ 돌아가 본업에 충실하는 것이 어쩌면 더 건강한 방법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 2020. 11. 19.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유연근무제 도입 사례 지난 시간에는 유연근무제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재택근무제, 시차출퇴근제 등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상황에서 우리 생활에 가까이 다가온 유연근무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연근무제 도입 사례 및 유연근무제를 통해 기업 및 근로자가 느낀 부분을 조금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유연근무제 도입 사례 (주)하나투어(여행서비스업, 근로자 2,357명) 도입배경 2011년부터 스마트워킹의 일환으로 재택‧거점근무 및 유연근무 실시 활용현황 ①시차출퇴근 : 업무특성, 자기계발, 건강상 이유, 장거리 출퇴근 등의 사유에 따라 오전 8시부터 10시 사이에 출근할 수 있도록 조정 * 활용인원 234명 ②재택근무 근로자의 필요에 따라 사무실이 아닌 집 등의 장소에서 근무 1년 이상 근무한 모든 직무(IT직.. 2020. 11. 15.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유연근무제 이번 주는 일생활균형을 위한 제도 중, 유연근무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유연근무제란?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재택근무제 및 원격근무제, 그리고 시차출퇴근제 등의 유연근무제가 이미 우리 생활 속으로 상당부분 들어와 있는데요, 이후에도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며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2. 그렇다면, 유연근무제를 도입 기업들과 근로자들은 이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해당 기업 및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0% 이상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일∙가정 균형, 생산성 향상’등을 경험하였습니다. 3. 여기서 잠깐! 일∙생활 균형이 어려우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 직장인의 65%가 경.. 2020. 11. 6.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2019년 일생활균형 우수기업 사례 ④ 오늘은 2019년 일생활균형 우수기업에 선정된 기업의 사례를 마지막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영광 YKMC ◆ 장시간 근무 관행 이렇게 바꿉니다 - 부서별 초과근로시간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장시간 근로 환경을 개선합니다. - 연장근무 시, 부서장 승인을 사전에 얻어 진행하도록 합니다. - 매달 마지막 주 금요일을 가정의 날로 지정해 5시 퇴근을 권장합니다. - 사내 메신저 활용으로 업무 집중도를 제고합니다. ◆ 일하는 ‘방식’ 이렇게 바꿉니다 - 회의실 예약시스템 도입 및 30분 이내 회의 진행, 화상회의 등으로 회의문화를 개선합니다. ◆ 일하는 ‘문화’ 이렇게 바꿉니다 - 출산장려금, 자녀학자금 등을 지원합니다. - 근로자 휴가지원사업에 참가하고 있으며 연1회 회사 보유 리조트 회원권을 활용해 휴가를 지원합니.. 2020. 10. 30.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2019년 일생활균형 우수기업 사례 ③ 이번주에는 세번째로, 2019년 일생활균형 우수기업의 사례 3곳을 살펴보겠습니다~! 어떤 노력들을 하고 있는지 보면서 내가 일하고 있는 곳에서도 좋은 사례를 적용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루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한선엔지니어링 ◆ 장시간 근무 관행 이렇게 바꿉니다 - 매일 정시퇴근을 장려합니다. ◆ 일하는 ‘방식’ 이렇게 바꿉니다 - 회의실에 타이머를 배치하여 최대한 간결하게 회의를 진행합니다. - PMS 프로그램 개발로 불필요한 보고 및 누락을 예방하고 업무 집중도를 제고합니다. - 주1회 시차출퇴근을 지원합니다. ◆ 일하는 ‘문화’ 이렇게 바꿉니다 - 30분 단위 연가 사용으로 늦게 출근, 중간 외출, 일찍 퇴근도 가능합니다. - 여성은 물론 남성 직원에도 육아휴직 지원 및 단축근로시간을 부여합.. 2020. 10. 25.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근무시간 단축제도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워라밸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제도 중 근무시간 단축제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시간선택제 일자리란? 시간선택제 일자리란 근로자가 사업주와의 협의를 통해 일·가정 양립, 고령자의 점진적 퇴직준비 등을 위해 근로시간 및 업무 시작과 종료 시각 등 근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법적 개념 시간선택제 근로자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시간선택제 근로자는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간제법’이라 함) 제2조 제2호 및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8호의 규정에 의한 단시간근로자와 같은 개념.. 2020. 10. 16.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2019년 일생활균형 우수기업 사례 ②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이번 주에도 일생활균형 우수기업의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해운대 나눔과 행복 병원에서는, ◆ 수평문화를 지향합니다 - 직위 중심의 수직체계에서 팀 중심의 수평 조직을 구축합니다. ◆ 일하는 ‘방식’ 이렇게 바꿉니다 - 그룹웨어 활용으로 보고 절차를 간소화합니다. - 월례회의는 홀수달만 진행해요. (여름시즌 회의 생략) ◆ 일하는 ‘문화’ 이렇게 바꿉니다 - 출산전후휴가&자동육아휴직, 가족돌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5일 등 가족친화적 제도를 적극 권장합니다. - 회식은 점심회식 혹은 간단한 식사 겸 저녁회식으로 운영해요. - 매주 금요일은 ‘가족 사랑의 날’로 지정해 정시 퇴근을 장려합니다. ◆ 기타 복지제도 - 업무관련 교육비 전액 지원 및 자기개발용 교육포인트제를 실시합.. 2020. 9. 27.
일생활균형 강원지역추진단 - 2019년 일생활균형 우수기업 사례 ① 고용노동부에서는 2019년 한 해 동안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는 우수기업을 선정하고자 '2019 일·생활 균형 우수사례 공모전'을 진행하였고, 대기업부터 중견기업, 중소기업 그리고 공기업까지 각기 다른 업종에 속한 130여곳의 다양한 규모의 기업들이 참여하였다고 합니다. 고용노동부와 외부 전문가들이 함께 심사하여 선정한 2019 일·생활 균형 우수사례 기업들 중 몇 곳을 오늘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시간 근무 관행 이렇게 바꿉니다 - ‘가족불금 데이’인 금요일에는 기존 오후 5시 40분, 8시 40분에 배차되는 통근버스를 오후 5시 40분에만 운영하여 정시퇴근을 독려합니다. - ‘일과 3배터리 충전’ 캠페인으로 점심시간, 퇴근 후, 연차에는 업무 연락을 자제합니다. - 휴일.. 2020. 9. 20.